• 産銀, 1분기 녹색채권 3,000억 발행 추진
  • 환경부 장관, 산업은행 본점에서 ‘녹색채권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식

  • 한정애 환경부 장관(왼쪽 여섯 번째)이 16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녹색채권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식'에 참석해 기념 촬영하고 있다.
    [ 김기범(왼쪽부터) 한국기업평가 대표, 김영대 나이스신용평가 대표, 조성현 만도 사장, 허인 KB국민은행장,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 한정애 환경부 장관, 송호성 기아 사장, 한영석 현대중공업 사장, 이재홍 한국신용평가 대표, 홍종성 딜로이트안진 대표 ]


    KDB산업은행이 녹색채권을 올해 1분기 3,000억원 규모로 발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산업은행은 시장을 활성화하고 그린뉴딜과 탄소 중립 목표 실현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부, 녹색채권 발행기관 및 외부검토기관과 ‘녹색채권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산은은 올해 1분기 중 약 3,000억원 규모의 녹색채권 발행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환경부가 발표한 ‘환경부 녹색채권 가이드라인’에 맞춰 기존의 자체 표준 관리체계를 정교하게 정비하는 작업도 추진한다. 산은 표준 관리체계는 국제자본시장협회(ICMA)의 녹책채권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산은 측은 “정부의 성공적인 녹색금융 추진 정책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국내 녹색금융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지속 노력할 것”이라며 “향후에도 국내 친환경산업에 민간자금을 유도하고, 녹색채권 자금사용에 따른 환경개선 효과를 투명하게 공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앞서 산은은 지난 2018년 국내 최초로 원화 녹색채권 3,000억원을 발행했다. 현재 국내 은행 가운데 유일하게 자금 사용내역과 환경개선 효과를 담은 투자자안내문을 외부기관의 검토 후 공개하고 있다. 산은은 올해 녹색금융을 주도하는 정책금융기관으로 전환하기 위해 기존의 정책·녹색기획부문을 확대 개편하고 ‘ESG·뉴딜기획부’를 신설했다. 5년간 25조원 수준의 ‘대한민국 대전환 뉴딜프로그램’도 신설했다.
    + 녹색채권이란?
    [ Green Bond , 綠色債券 ]

    요약 : 환경 친화적 프로젝트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된 채권.
    환경 친화적 프로젝트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된 채권으로, 탄소 감축, 건물 에너지 효율화, 신재생 에너지, 전기 자동차 등의 친환경적인 활동과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자금 지원 등 녹색산업과 관련된 용도로만 사용이 한정되어 있다.

    녹색채권 시장 활성화를 위한 비영리기구인 기후채권이니셔티브(Climate Bond Initiative)에 따르면, 국제적으로 녹색채권의 발행금액은 2011년 약 12억 달러에서 2015년 약 418억 달러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예전에는 이 채권이 세계은행(World Bank)과 같은 범국가적 개발은행 주도로 발행되었으나, 최근 투자은행이나 일반기업과 같은 민간부문의 발행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14년에는 국제기구 혹은 정부가 발행한 녹색채권 규모가 전체 규모의 약 56%였던 반면, 2015년에는 42%까지 감소하였다.

    해외 사례를 보면, 세계은행은 2008년 이후 태양광 및 풍력 에너지 사업, 온실가스 감축 기술 개발, 연료 효율화 사업, 수질 개선 사업, 산림 보호 등과 관련된 환경 친화적 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녹색채권을 발행해오고 있다. 미국은 2009년 3월 녹색은행법(Green Bank Act)을 의회에 상정시켰으며, 이에 재무부는 약 100억 달러의 녹색채권을 발행하여 녹색은행의 최초 자본금으로 활용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출입은행에서 2013년 2월 약 5억 달러의 5년 만기 녹색채권을 처음 발행하였으며, 2016년 2월에 약 4억 달러 규모의 5년 만기 녹색채권을 재발행하였다.

    녹색채권운 친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채권으로서주로 세계은행 등 국제금융기관의 주도로 발행이 되었지만 최근에는 민간기업 및 지방공공단체 등 발행주체가 다양해지고 있다.



  • 글쓴날 : [21-02-17 18:59]
    • 다른기사보기 koreaman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