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선제비꽃, 서울개발나물 서식지 개선 행사
  • 멸종위기종 보전을 위한 서식지 개선 행사를 2월 15일에 진행
  •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선제비꽃, 서울개발나물 서식지 개선 행사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조도순)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선제비꽃과 서울개발나물이 자생하고 있는 양산 원동습지(위치: 양산시 원동면 천태로 1444 일대, 면적: 약 13만㎡)에서 시민들과 함께 멸종위기종 보전을 위한 서식지 개선 행사를 2월 15일에 진행한다.



    양산 원동습지는 이 두 멸종위기식물이 함께 자생하는 국내 유일 서식지로, 그동안 물억새 등 경쟁식물의 증가와 참느릅나무 등 목본식물의 침입 등에 따른 서식지 환경 악화로 보전 대책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이번 서식지 개선 행사는 서울개발나물과 선제비꽃의 초기 생장을 도와 개체수를 늘리기 위해 빛이 들어오는 것을 방해하는 묵은 갈대와 억새 등을 제거한다. 



    국립생태원은 2022년 정밀조사에서 두 멸종위기야생생물의 분포와 개체수를 파악한 결과, 경쟁식물과 외래종 등 위협요인의 제거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해외에서는 식물의 서식지 유지와 개체수 증가 방법으로 불태우기나 풀베기를 적용하는 사례가 있는데, 원동습지에서는 안전을 고려하여 풀베기만 실시한다.



    이번 행사에는 환경부, 낙동강유역환경청, 양산시, 국립생태원 등 관계기관뿐만 아니라, 식물분류학회 현진오 전 회장 등 전문가와 경남 자원봉사센터에서 모집한 시민 등 40여 명이 참석할 계획이다.



    시민들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 보전 필요성에 대한 생태교육과 원동습지 주변 쓰레기 줍기 등 환경정화 활동에 참여하고, 관계기관 및 전문가들은 원동습지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보전 협의체 구성 등을 포함한 원동습지 보전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조도순 국립생태원장은 "기후변화와 인간활동의 증가로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종의 서식지가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라면서, "이번 활동을 계기로 향후 민·관·학이 함께 멸종위기종 자생지 보전을 위해 협력하는 체계를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d9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0pixel, 세로 52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d90261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0pixel, 세로 467pixel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서울개발나물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선제비꽃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batch__43A0576.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853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2년 02월 24일 오후 3:18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 5D Mark IV 프로그램 이름 : PhotoScape F-스톱 : 16.0 노출 시간 : 1/2000초 IOS 감도 : 32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프로그램 노출 : 조리개 우선 모드 측광 모드 : 부분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3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DJI_0122.MP4_20220919_094233.02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840pixel, 세로 2160pixel

    원동습지 전경(2월)

    원동습지 전경(5월)

      

  • 글쓴날 : [23-02-14 19:11]
    • 다른기사보기 강원규 기자의 다른기사보기